본문 바로가기

애착2

나는 왜 매달리는 사랑을 하는 걸까 애착은 어떻게 사랑의 방식을 결정짓는가 영국의 정신과 의사 존 볼비는 UN에게 한 연구 의뢰를 받았다. 전쟁으로 고아가 된 아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일으키는 사회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였다. 볼비는 어린 시절 부모와 안정적인 유대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 아이들은 어른이 된 후 정신적인 문제를 겪는다는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을 세웠다. 이후 볼비의 애착이론은 다른 심리학자들에 의해 계속 발전했다. 해리 할로는 붉은털원숭이 새끼가 먹이라는 보상보다는 신체적인 접촉과 유대를 더 원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어미에게서 떨어진 붉은털원숭이 새끼는 젖병을 먹을 때를 제외하고는 줄곧 보들보들한 천 어미에게 매달려 지냈다. 북 치는 곰 인형을 마주했을 때는 천 인형에게 달려가 위안을 얻고 .. 2024. 1. 17.
사랑의 기원에 관하여 사랑의 기원에 관하여 1958년 미국 조지아대 교수 해리 할로는 잔인하지만 중요한 실험을 계획했다. 붉은털원숭이 새끼를 어미에게서 격리시킨 뒤, 철사 어미와 천 어미 중 누구에게 매달리는지 실험을 한 것이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새끼가 어미에게 매달리는 이유를 모유라는 보상 때문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행동주의 학파의 영향이었다. 그들은 보상과 처벌이 동기의 전부라고 생각했다. 사랑과 연민 같은 감정은 주요하지 않았다. 주류 심리학의 관점대로라면 새끼는 우유를 주는 철사 어미에게 달라붙어 있어야 했다. 결과는 정반대였다. 붉은털원숭이 새끼는 우유를 먹을 때를 제외하곤 하루 종일 보들보들한 천으로 된 인형에 매달려 있었다. 어미에 대한 애정이 보상 때문이라고 생각했던 이론과 상반되는 결과였다. 실험.. 2023. 11. 11.